79madam 님의 블로그

갑상선결절증상 정리와 치료 본문

건강

갑상선결절증상 정리와 치료

79madam 2025. 9. 21. 01:44
반응형

갑상선결절증상

갑상선결절증상이란?

갑상선은 목 앞부분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내분비 기관으로, 호르몬을 분비해 신진대사와 체온 조절을 담당합니다. 이곳에 혹이 생긴 것을 갑상선결절이라 부르며, 최근 건강검진 초음파 검사의 보편화로 발견 빈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결절은 양성이며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는 암으로 발전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갑상선결절증상이 나타날 경우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갑상선결절의 원인

갑상선결절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요오드 섭취 불균형, 갑상선염, 양성 종양, 낭종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가족력이나 방사선 노출 경험이 있는 경우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특별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갑상선결절 주요 증상

갑상선결절증상은 초기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실제로 많은 환자들이 무증상 상태에서 건강검진 초음파로 발견합니다. 하지만 결절의 크기가 커지거나 주변 조직을 압박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무증상인 경우

갑상선결절 환자의 70~80%는 무증상입니다. 작은 결절은 호르몬 분비에도 영향을 주지 않아 본인이 전혀 자각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정기검진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압박 증상: 삼킴곤란·호흡곤란

결절이 커지면 목 앞쪽에 혹이 만져지고, 기도나 식도를 누르면서 삼킴곤란, 호흡곤란, 이물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음식이나 물을 삼킬 때 걸리는 듯한 불편감이 반복된다면 결절로 인한 압박 증상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목소리 변화와 통증

결절이 성대를 움직이는 신경을 침범하면 목소리가 쉽게 쉬고, 심한 경우 영구적인 목소리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결절 내부 출혈이나 염증이 생기면 갑작스러운 통증, 부기, 급격한 크기 증가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 양성 결절이 아닌, 암으로의 진행 가능성을 시사하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환자와 의사 일러스트


갑상선결절 진단 방법

신체검사 및 초음파 검사

의사는 목을 촉진해 혹의 유무를 확인합니다. 그러나 작은 결절은 촉진만으로 알기 어렵기 때문에 초음파 검사가 필수입니다. 초음파를 통해 결절의 크기, 모양, 내부 구조를 파악하고 양성과 악성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세침흡인검사(FNA)

초음파에서 의심되는 결절이 발견되면 가는 바늘로 세포를 채취해 검사하는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합니다. 이 검사는 비교적 간단하고 안전하며, 갑상선암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검사입니다.


갑상선결절 치료 방법

치료는 결절의 크기, 성격, 환자의 나이와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경과 관찰

작고 양성으로 확인된 결절은 특별한 치료 없이 정기적으로 추적관찰을 합니다. 보통 6개월~1년 간격으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며, 크기 변화나 새로운 증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수술 및 고주파 절제술

결절이 크거나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 혹은 암으로 의심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수술 대신 고주파 절제술 같은 비수술적 방법이 활용되기도 하며, 흉터가 적고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암으로 의심될 때 치료 방향

만약 세포검사에서 악성이 의심되면 갑상선암 수술을 통해 결절을 제거합니다. 갑상선암은 비교적 예후가 좋은 암이지만, 조기 치료 여부에 따라 차이가 크므로 빠른 진단이 중요합니다.

수술


생활 관리 및 정기 검진의 중요성

생활 습관 관리

균형 잡힌 식사와 충분한 요오드 섭취, 과도한 방사선 노출 피하기, 금연과 절주가 도움이 됩니다. 또한 목 부위에 이상이 느껴진다면 방치하지 않고 조기 진료를 받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의 필요성

앞서 언급했듯, 갑상선결절증상은 대부분 무증상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이 유일한 예방책입니다. 특히 가족력이 있거나 과거 방사선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 정기검진을 꼭 권장합니다.


 

갑상선결절은 흔한 질환이지만 대부분 증상이 없어 간과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결절이 커지거나 급격히 변화할 경우 삼킴곤란, 호흡곤란, 목소리 변화, 통증 같은 갑상선결절증상이 나타나며, 이는 암으로의 진행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없어도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목에 혹이 만져지거나 갑작스러운 변화가 느껴진다면 즉시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