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madam 님의 블로그

해외 우수 한식당 7곳 선정, K-푸드 세계화의 새로운 발판 본문

사회

해외 우수 한식당 7곳 선정, K-푸드 세계화의 새로운 발판

79madam 2025. 11. 18. 14:12
반응형

한국 음식


한국 음식이 더 이상 ‘낯선 맛’이 아닙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식진흥원이 2025년 해외 우수 한식당 7곳을 새롭게 지정하며,
K-푸드의 세계화에 본격적인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번에 선정된 식당들은 각국 미식가들에게 한식의 새로운 매력을 전하고 있으며,
한식의 품질과 위생, 서비스, 그리고 한국산 식재료 사용 비율까지 꼼꼼히 평가받은 곳들입니다.


🥢 한식의 세계 진출, 이제 ‘품질’로 승부한다

이번 해외 우수 한식당 지정제는 단순히 맛있는 한식을 제공하는 식당을 선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한식의 정통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담보한 식당만이 그 이름을 올릴 수 있죠.
농림축산식품부와 한식진흥원은 한식의 품질, 서비스 수준, 위생관리,
한국산 식재료 사용 여부 등을 기준으로 27개 항목을 평가해 7곳을 선정했습니다.

이 제도는 단순한 ‘상징적 지정’이 아니라,
각 식당이 한식문화의 홍보대사 역할을 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선정된 한식당에는 지정패 수여와 함께
해외 현지 고객에게 한식을 더욱 널리 알릴 수 있는 홍보 콘텐츠 제작 기회도 제공됩니다.


🇸🇬 싱가포르의 세 한식당, 미쉐린 스타의 품격을 더하다

이번에 선정된 7곳 중 3곳은 싱가포르에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받은 곳은 ‘내음(NAE:UM)’.
이곳은 토마토 동치미와 메밀면 등 창의적인 메뉴로 2022~2025년 미쉐린 1스타를 연속 획득했으며,
‘Asia’s 50 Best Restaurants’에서도 73위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레스토랑(Seoul Restaurant)’은 전통적인 소고기 구이, 찌개, 잡채 등
한국 가정식의 따뜻한 감성을 그대로 재현했습니다.
또한, 부산의 명물 ‘엄용백 돼지국밥’의 싱가포르 분점인 ‘엄용백(Um Yong Baek)’은 돼지국밥, 간장국수, 들기름 막국수 등
한국식 소울푸드를 세계에 알리고 있습니다.

이 세 곳은 단순한 한식당이 아니라,
한식이 가진 깊이와 감칠맛을 미쉐린 레벨의 퀄리티로 재해석한 ‘한식 혁신의 현장’입니다.


한우

🇺🇸 로스앤젤레스의 한식 열풍, K-BBQ의 정점을 찍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는 이미 ‘한식의 메카’로 불리고 있습니다.
이번 선정에서도 3곳의 LA 한식당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바루(Baroo)’는 랍스터된장, 간장조림 은대구, 갈비, 산나물밥 등
현대적 감각의 한식을 선보이는 레스토랑입니다.
2024년 ‘LA 타임스 올해의 레스토랑’으로 선정되고,
2025년에는 ‘The All Time Eater 38’에 오르며 현지 미식가들의 찬사를 받았습니다.

또한, 서울의 대표 구이 전문점 ‘대도식당(DAEDO SIKDANG)’ LA 분점은
한국식 소고기구이의 진수를 보여줍니다.
수원갈비(Soowon Galbi)’는 정통 한식 BBQ 문화의 대표 주자로,
현지에서 한식의 ‘불맛’을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평가받으며 2024년 미쉐린 가이드에 등재되었습니다.

이들 한식당의 공통점은 단 하나입니다.
바로 K-BBQ를 문화로 확장시켰다는 점이죠.
이제 불판 위의 한 점 고기는 단순한 음식이 아닌, 한국의 미학과 정성을 전하는 문화가 되었습니다.


🇫🇷 파리에서 만나는 불고기 향기, 유럽 한식의 품격

유럽에서는 ‘순그릴 샹젤리제(SOON GRILL Champs-Elysees)’가 선정되었습니다.
불고기, 소갈비, 돼지갈비, 잡채, 찌개 등 한국의 전통 메뉴를 프렌치 다이닝 감성으로 재해석한 곳입니다.

파리 중심가 샹젤리제 거리에서 ‘순그릴’의 불고기 향기가 퍼지는 것은
이제 한국 음식이 유럽 미식문화의 일부가 되었음을 상징합니다.
한식이 더 이상 ‘이국적인 음식’이 아니라, ‘세계의 맛’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입니다.

불고기 이미지사진


🌐 K-푸드, 이제 세계 무대에서 당당하게

정경석 식품산업정책관은
“2030년까지 해외 우수 한식당을 100개소로 확대해
한식 경쟁력 제고와 K-푸드 수출에 기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단순히 해외 식당을 늘리는 계획이 아닙니다.
한식의 품질 기준을 세계적으로 표준화하고, 한식당이 K-푸드 수출 전초기지로 기능하게 만드는 전략입니다.

전 세계 한식당들이 한국산 재료를 사용하고, 한류 콘텐츠와 연계된 ‘문화식당’으로 발전하게 된다면,
한식은 단순한 요리가 아닌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잡게 될 것입니다.


한식

✨ 한식, 세계가 사랑하는 문화가 되다

이번 해외 우수 한식당 7곳 선정은 ‘K-푸드 세계화’의 새로운 시작점입니다.
토마토 동치미와 랍스터된장처럼, 한식은 이제 전통과 혁신이 공존하는 글로벌 미식 브랜드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식재료, 조리법, 그리고 따뜻한 환대가
전 세계 식탁 위에서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그날까지 —
‘한식의 세계화’는 계속됩니다.

반응형